GitHub 자세히보기

Computer Science/네트워크

[네트워크] 웹 액세스의 기본동작과 HTML

devdange 2022. 1. 18. 22:03

안녕하세요. 데브당에입니다.

오늘은 웹 액세스의 기본동작과 HTML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웹 브라우저에 구글, 네이버와 같은 주소를 입력하면 어떠한 과정을 거쳐 웹 사이트에 접속하는지, 그리고 HTML과 HTML5는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주소창에 'www.google.com'을 입력하면?

  1. 유저가 웹 브라우저에 URL을 입력한다.
  2. URL로 지정한 웹 서버에게 HTTP 요청을 송신한다.
  3. 웹 서버가 요청을 해석한다.
  4. 웹 서버가 요청받은 파일을 웹 브라우저에게 돌려보낸다.
  5. 웹 브라우저가 수신한 데이터를 해석해서 표시한다.

URL

  •  웹 사이트의 주소 = URL(Uniform Resource Locator)
  •  인터넷상의 데이터 위치를 가리키는 표준적인 표기법
  • 정식 명칭 :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정적 VS 동적 웹 페이지

  • 정적 웹페이지
    • 웹 서버에 저장해 둔 사이트
    • 수많은 개인 사이트 및 기업 공식 사이트 등
  • 동적 웹페이지
    • 웹 서버가 자동으로 생성한 웹 페이지
    • 검색엔진의 검색 결과  페이지, 온라인 쇼핑몰 장바구니 등

 

HTML

  • HTML = 웹 페이지의 내용
  •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은 '하이퍼텍스트'를 기술하기 위한 규칙

  • HTML5
    • WHATWG와 W3C가 발표하는 HTML의 최신 버전
    • 문법면에서는 이전에 비해 상당히 간결하고 명확해짐
    • API면에서, 비디오 및 오디오와 같은 미디어 엘리먼트에 대한 API를 포함해 오프라인 웹 앱 구현, 문서 편집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에 대한 API 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