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Hub 자세히보기

web 3

[Web] Spring Data JPA 개념 및 메소드 사용법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데브당에입니다. 최근 Spring으로 웹 프로젝트를 개발하면서 JPA를 처음 사용해보았습니다. 이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Spring Data JPA까지 알아보게 되었습니다. 오늘은 직관적인 코드 구현으로 개발을 용이하게 해주는 Spring Data JPA의 개념과 메소드 사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Spring Data JPA란? Spring Data JPA는 JPA(Java Persistence API)에 대한 저장소(repository) 지원 제공 JPA data sourse에 대한 접근이 필요한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용이하게 함 Spring Data Repositories로 작업하기 Spring Data repository 추상화의 목표는 다양한 영속성 저장소에 대한 데이터 액세스 계층을 ..

Programming/JAVA 2022.01.23

[네트워크] 웹 액세스의 기본동작과 HTML

안녕하세요. 데브당에입니다. 오늘은 웹 액세스의 기본동작과 HTML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웹 브라우저에 구글, 네이버와 같은 주소를 입력하면 어떠한 과정을 거쳐 웹 사이트에 접속하는지, 그리고 HTML과 HTML5는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주소창에 'www.google.com'을 입력하면? 유저가 웹 브라우저에 URL을 입력한다. URL로 지정한 웹 서버에게 HTTP 요청을 송신한다. 웹 서버가 요청을 해석한다. 웹 서버가 요청받은 파일을 웹 브라우저에게 돌려보낸다. 웹 브라우저가 수신한 데이터를 해석해서 표시한다. URL 웹 사이트의 주소 =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인터넷상의 데이터 위치를 가리키는 표준적인 표기법 정식 명칭 : URI(Uniform Resour..

[Web] REST API, 기초부터 정확히 이해하기

안녕하세요. 데브당에입니다. 지난달 Web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REST API를 사용했습니다. 정확한 개념은 이해하진 못했지만, 사용해보니 구현과 유지보수에 있어 직관적이고 편리하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습니다. 이번에 새로 진행할 Web 프로젝트에 앞서, REST API에 대해 좀더 알아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REST란? REST는 웹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아키텍처로,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의 약어입니다.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즉, 하나의 URI는 하나의 고유한 리소스(resource)를 대표하도록 설계된다는 개념에서 파생되었으며 전송방식을 결합해서 원하는 작업을 지정하는 것을 말합니다. REST의 필요성 기존 Se..

Programming/Web 2022.01.05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