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Hub 자세히보기

Computer Science 6

[네트워크] 프로토콜과 OSI 참조모델 쉽게 이해하기

프로토콜(Protocol) 데이터를 보내는 쪽과 받는 쪽이 사용하는 규칙을 정한 뒤, 데이터를 주고 받음. 이때의 규칙을 프로토콜이라고 함 보내는 쪽과 받는 쪽이 동일한 프로토콜을 사용해야 함 1960~1970년대에 각 업체가 자신들의 컴퓨터끼리 네트워크를 사용해서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도록 컴퓨터와 통신에서 사용하는 기기, 그리고 프로토콜을 자신들의 규격을 만듬 다른 회사와는 규격이 달라서 호환되지 않는 경우가 많음 👉 데이터 통신의 규격과 프로토콜을 통일하기 위해 ISO가 OSI 참조 모델을 선언함 OSI 참조 모델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 국제표준화기구 ISO의 표준화 단계에서 선언한 것이 OSI 참조 모델이며, 데이터 통신의..

[네트워크] HTTP의 개념과 HTTP/2.0의 개선점

안녕하세요. 데브당에입니다. 오늘은 웹의 기본적인 전송 프로토콜인 HTTP의 개념과 요청, 응답, 쿠키 그리고 HTTP/2.0의 개선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HTTP HTTP(HyperText Tranfer Protocol) 하이퍼텍스트(HTML)을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 하이퍼텍스트뿐만 아니라 다양한 파일을 전송하는데도 이용함 HTTP 요청 웹 브라우저가 웹 서버로 보내는 요청으로 1) 요청 행(Requst Line), 2) 메시지 헤더(Message Header), 3) 엔티티 바디(Entity Body)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음 요청 행 : HTTP 요청의 첫 번째 라인에 위치하며, 웹 서버에게 처리 요구 전달 메소드, URI 버전(웹 브라우저가 지원하는 HTTP의 버전으로, 주로 1.0..

[네트워크] 웹 액세스의 기본동작과 HTML

안녕하세요. 데브당에입니다. 오늘은 웹 액세스의 기본동작과 HTML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웹 브라우저에 구글, 네이버와 같은 주소를 입력하면 어떠한 과정을 거쳐 웹 사이트에 접속하는지, 그리고 HTML과 HTML5는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주소창에 'www.google.com'을 입력하면? 유저가 웹 브라우저에 URL을 입력한다. URL로 지정한 웹 서버에게 HTTP 요청을 송신한다. 웹 서버가 요청을 해석한다. 웹 서버가 요청받은 파일을 웹 브라우저에게 돌려보낸다. 웹 브라우저가 수신한 데이터를 해석해서 표시한다. URL 웹 사이트의 주소 =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인터넷상의 데이터 위치를 가리키는 표준적인 표기법 정식 명칭 : URI(Uniform Resour..

[이산수학] 역, 이, 대우란? 명제 진리표로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데브당에입니다. 지난 시간에는 "명제, 논리연산자 그리고 조건명제 진리표"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산수학] 기초 중의 기초! 명제, 논리 연산자 그리고 조건명제 진리표 안녕하셍요! 데브당에입니다. 지난 포스팅에선 이산수학의 개념과 학습의 중요성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산수학] 이산수학이란? 개발자가 학습해야하는 이유! 안녕하세요! 데브당에입니다. devdange.tistory.com 이어서 명제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역, 이, 대우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개요 역, 이, 대우는 명제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하나의 명제를 변형하여 표현하는 것입니다. 특히, 증명하기 어려운 명제는 대우를 이용해 증명할 수 있습니다. 개념 명제는 "p → q"라고 가정하겠습니다. 이에 대한 역, 이,..

[이산수학] 명제, 논리 연산자 그리고 진리표, 조건명제 진리표 - 기초 중의 기초!

안녕하셍요! 데브당에입니다. 지난 포스팅에선 이산수학의 개념과 학습의 중요성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산수학] 이산수학이란? 개발자가 학습해야하는 이유! 안녕하세요! 데브당에입니다. Computer Science 학습의 시작으로 이산수학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아마 컴공을 전공으로 한 대부분의 학생들은 신입생때 필수전공으로 이산수학을 학습했을 것입 devdange.tistory.com 이번 포스팅에서는 컴퓨터 사이언스의 기초 중의 기초인 명제, 논리 연산자 그리고 (조건명제) 진리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명제(Proposition)란? 저는 좀더 쉽고, 직관적으로 의미를 받아들이기 위해 용어의 정의를 알아볼때 영어 혹은 한자를 찾아봅니다. 아래는 명제(proposition)에 대한 영영사전의 사전적..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