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Hub 자세히보기

전체 글 36

[JAVA] 추상클래스, 추상메소드, 인터페이스의 개념과 연관성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데브당에입니다. 오늘은 JAVA에서 중요한 개념인 추상클래스, 추상메소드와 인터페이스에 대해 알아보려합니다. 들어가며 추상클래스, 인터페이스라는 개념이 낯설 수 있습니다. 각 각의 사전적 정의에 대해 먼저 알아보겠습니다. 추상이란? 사물을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사물이 지니고 있는 여러 가지 측면 가운데서 특정한 측면만을 가려내어 포착하는 것이다. 어떤 일면만을 추상하는 것은 다른 측면을 버린다는 것과 같다. 인터페이스란? 서로 다른 두 개 이상의 독립된 컴퓨터 시스템 구성 요소 간에 정보를 교환하는 공유 경계(shared boundary) 추상클래스(Abstract Class) 및 추상메소드(Abstract Method) 쉽게 생각하자면, 추상클래스는 구현부가 작성되지 않은 메서드(추상..

Programming/JAVA 2022.01.12

[백준] 11047번 동전 0 for JAVA - 탐욕 알고리즘 적용한 풀이

문제설명 준규가 가지고 있는 동전은 총 N종류이고, 각각의 동전을 매우 많이 가지고 있다. 동전을 적절히 사용해서 그 가치의 합을 K로 만들려고 한다. 이때 필요한 동전 개수의 최솟값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제한사항 입력 첫째 줄에 N과 K가 주어진다. (1 ≤ N ≤ 10, 1 ≤ K ≤ 100,000,000)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 동전의 가치 Ai가 오름차순으로 주어진다. (1 ≤ Ai ≤ 1,000,000, A1 = 1, i ≥ 2인 경우에 Ai는 Ai-1의 배수) 출력 첫째 줄에 K원을 만드는데 필요한 동전 개수의 최솟값을 출력한다. 문제풀이 동전이 오름차순으로 정렬되어 입력되기 때문에 뒤에서부터 동전이 계산 가능한지 확인한다. input 배열을 뒤에서부터 탐색 n번째 input 값이..

Algorithm/BOJ 2022.01.11

[JAVA] JAVA의 탄생부터 개념, 특징, 변수(형 변환)까지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데브당에입니다. 오늘은 프로그래밍 언어 중 하나인 JAVA에 대해 알아보려합니다. 개념부터 특징, 변수까지 기초적인 내용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JAVA 자바는 썬 마이크로시스템즈의 제임스 고슬링과 다른 연구원들이 개발한 객체 지향적 프로그래밍 언어입니다. 1991년 그린 프로젝트(가전기기 어플리케이션 제작)을 위해 자바의 초안이 제안되었습니다. 하지만 널리 이용되지 못하다가 인터넷이 활성화되면서 컴퓨터의 다양한 플랫폼에서 똑같이 동작하는 언어가 필요하게 되면서 각광받게 되었습니다. 1995년, JAVA라는 이름으로 공식버전을 발표합니다. JAVA의 특징 객체지향 "실세계의 모든 것은 객체 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이루어진다."는 개념을 전제로하여 모든 것을 객체로 정의함 플랫폼 독립적 JVM만..

Programming/JAVA 2022.01.10

[백준] 1806번 부분합 for JAVA - 인덱스 이동

문제설명 10,000 이하의 자연수로 이루어진 길이 N짜리 수열이 주어진다. 이 수열에서 연속된 수들의 부분합 중에 그 합이 S 이상이 되는 것 중, 가장 짧은 것의 길이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제한사항 입력 첫째 줄에 N (10 ≤ N < 100,000)과 S (0 < S ≤ 100,000,000)가 주어진다. 둘째 줄에는 수열이 주어진다. 수열의 각 원소는 공백으로 구분되어져 있으며, 10,000이하의 자연수이다. 출력 첫째 줄에 구하고자 하는 최소의 길이를 출력한다. 만일 그러한 합을 만드는 것이 불가능하다면 0을 출력하면 된다. 문제풀이 이번 문제는 이중 for문을 적용할 경우, 시간초과에 걸리는 문제입니다. 따라서 연속된 수열의 시작점(left)과 끝점(right)을 인덱스로 지정하여 ..

Algorithm/BOJ 2022.01.10

[백준] 1764번 듣보잡 for JAVA - HashSet 이용

문제설명 김진영이 듣도 못한 사람의 명단과, 보도 못한 사람의 명단이 주어질 때, 듣도 보도 못한 사람의 명단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제한사항 입력 첫째 줄에 듣도 못한 사람의 수 N, 보도 못한 사람의 수 M이 주어진다. 이어서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 걸쳐 듣도 못한 사람의 이름과, N+2째 줄부터 보도 못한 사람의 이름이 순서대로 주어진다. 이름은 띄어쓰기 없이 알파벳 소문자로만 이루어지며, 그 길이는 20 이하이다. N, M은 500,000 이하의 자연수이다. 듣도 못한 사람의 명단에는 중복되는 이름이 없으며, 보도 못한 사람의 명단도 마찬가지이다. 출력 듣보잡의 수와 그 명단을 사전순으로 출력한다. 문제풀이 듣도못한/보도못한 2개의 명단 간에 중복되는 데이터가 있는지 확인해야한다. 이를..

Algorithm/BOJ 2022.01.07
1 2 3 4 5 6 7 8